iphone-티머니-교통카드-후기-iphone-tmoney-review

25년 6월 16일, 티머니에서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티머니, iPhone과 Apple Watch에 찾아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이라는 내용의 배너를 노출했다. 공식 발표였다. 말 그대로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공식적인 내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업데이트 예정이라고 한 것으로 봐서는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7월 22일 마침내 적용됐다. 애플페이 국내 출시 2년 만에 교통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iphone-티머니-교통카드-후기-iphone-tmoney-review

티머니, 이제 iPhone으로

2017년 일본 여행을 하면서 아이폰에 스이카 카드를 등록해서 사용했을 때부터 정말 부럽다고 생각했었다. 우리나라도 언젠간 가능하겠지. 그렇게 약 8년 만에 우리나라에서도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iphone-티머니-교통카드-후기-iphone-tmoney-review
iphone-티머니-교통카드-후기-iphone-tmoney-review

지갑 앱에서 교통카드 메뉴로 접속하면 대한민국 Tmoney(티머니) 항목을 볼 수 있다. Tmoney(티머니)를 선택한 후 자동충전 여부와 최초충전 금액을 선택하면 Tmoney(티머니) 카드가 추가되면서 사용 준비가 끝난다. 그리고 Tmoney(티머니) 앱에 접속하면 아이폰 지갑에서 추가한 Tmoney(티머니) 카드를 확인 할 수 있다.

1. 지갑 앱에 접속하여 새로운 카드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2. 교통카드를 선택하고 대한민국 탭에 Tmoney를 선택한다.
3. 처음 충전할 금액을 선택한다. (최소 금액 3천 원)
4. 이용약관에 동의 후 지불 방법을 선택한다. (현재 현대카드만 가능)
5. 자동 충전 설정을 선택한다.

난 애플페이가 도입됐을 때 발급받은 현대카드가 있어서 아주 쉽고 빠르게 Tmoney(티머니) 교통카드를 추가할 수 있었다. 현재 아이폰 지갑 앱에서 충전하려면 현대카드만 가능하다. 현대카드가 없다면 발급받을 수 없는 걸까?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발급받자

현대카드 회원이 아니더라도 Tmoney(티머니)를 등록할 수 있다. 우선 모바일티머니 앱을 업데이트하고 접속하면 메인화면에서 교통카드 앱을 확인할 수 있고, 옆으로 넘기면 "추가 Apple 지갑"이라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안내에 따라서 카드를 추가하면 끝이다. 앱에서도 자동충전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충전은 애플페이 외에 다른 방법도 가능하지만, 충전 방식에 따라 2.1% 충전 수수료가 붙는다. 2.1%는 너무 높긴 한데,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매달 마일리지를 지급한다는 얘기가 있다.

인식 속도가 빠를까?

일본에서 스이카를 등록하고 사용했을 때 정말 놀랐던 것이 바로 인식 속도였다. 기분 탓인지 모르겠는데, 스쳐도 인식되는 느낌이랄까? 지금 사용하고 있는 실물 카드는 위치에 따라서 제대로 인식이 안 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는데, 인식이 제대로 안 되는 상황이 한 번도 없었다. 그래서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를 발급받은 후 가장 궁금했던 점이 인식 속도가 빠를까? 라는 점이었다.

iphone-티머니-교통카드-후기-iphone-tmoney-review

최초 1만 원을 충전해 놓고 퇴근하면서 바로 이용해 봤다. 결론적으로 스이카만큼 빠른 느낌은 아니다. 그렇다고 느린 것도 아니다. 사용하는 데 전혀 불편함이 없다. 환승 또한 매우 잘된다. 사용하기 전에 궁금했던 점이 하나 있었다. 지갑에 교통카드로 스이카와 티머니가 같이 등록되어 있는데, 익스프레스 모드에서 사용할 때 티머니를 제대로 인식할 수 있을까? 였다. 잇섭 채널에서 제니퍼 베일리 부사장과 인터뷰한 내용 중 이와 관련된 내용이 있다.

Q. 해외에 나갔을 때 다른 해외 교통카드도 등록되어 있는데, 나라마다 따로 인식되는 시스템이 있는지?
A. 네. 저희는 티머니의 규격을 지원하기 때문에 아이폰이 티머니 터미널과 소통할 때 티머니 터미널이 티머니를 찾는다. 그러므로 티머니 카드만 찾고 그 외 다른 결제 카드 혹은 교통카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나의 결론은 이렇다

후불교통카드. 대다수가 같은 생각일 텐데, K패스의 20% 지원금을 포기할 수 없다. 그래서 현시점까지 나의 결론은 "비상용으로 사용해야지."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