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다 캐시백 리워드란?
캐시백 (cash back)경제 물건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에게 돈을 적립해 주는 제도. 또는 그 돈.출처 : 네이버 사전
아고다 캐시백 리워드 또한 같은 의미다. 숙소를 예약할 때 "캐쉬백 리워드: ₩
금액"이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숙소를 예약하면 금액만큼 캐시백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아고다 캐시백 리워드 정책은 세 가지 정도다.
1. 체크아웃 60일 후부터 이용가능하다.2. 요청은 은행계좌 혹은 신용/직불카드로 가능하다.3. 기간이 만료되면 소멸된다.
설명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숙소를 예약할 때 캐시백 리워드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숙소 리스트나 결제 페이지에서 캐시백 리워드 문구가 계속 표기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당 문구가 없는 예약은 캐시백을 받을 수 없다.
아고다 캐시백 리워드 받는 방법.
STEP1. 리워드 가능한 숙소 선택.STEP2. 결제 시 리워드 적용 할인.STEP3. 체크아웃 60일 후 요청 가능한 캐시백 확인.STEP4. 캐시백 리워드 요청하기.STEP5. 캐시백 수령 방법 선택하기.STEP6. 요청된 캐시백 확인 후 기다리기.
체크아웃 60일 후가 되면 아주 친절하게 캐시백 리워드를 요청하라는 메일을
발송해 준다. 메일 하단 버튼을 누르면 아고다로 이동하고 요청할 수 있는 캐시백을 확인
후 리워드를 요청하면 된다. 요청할 때, 은행 계좌와 신용/직불카드를 선택하는
항목이 있는데, 둘 다 계좌로 돌려받는 건 동일하다. 다만, 은행 계좌는 직접 입력한
계좌로 받는 것이고, 신용/직불카드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 계좌로 받는다는 것이다.
요청한 리워드는 최대 7일 정도 소요된다고 안내하고 있지만, 빠르면 2일, 늦어도
4일 안에는 계좌에 입금된다. 생각해 보면 리워드 프로세스를 세상 불편하게 만들어
놓긴 했다. 결제할 때는 기존에 등록한 카드로 원클릭 결제가 가능하게 해놨으면서 리워드를 받을 때는 정보를 하나씩 모두 입력해야 한다. 최대한 귀찮게
만들자는 의지가 느껴진다.
처음 포스팅할 때도 얘기했지만, 아고다가 최저가는 아니다. 다른
플랫폼과 공식 숙소 홈페이지까지 확인해 보고 아고다가 최저가라면 프로모션 코드
혹은 캐시백 리워드 그리고 카드 할인까지 받아서 예약하는 것이 좋다. 샵백이라는
사이트도 있고, 프로모션 할인+리워드 이렇게 이중 할인까지 가능하다고
알려졌지만, 직접 해보지 않아서 캐시백 리워드만 포스팅했다.
아고다를 이용한다면 꼭 캐시백 리워드를 받아서 비용을 절약하길 바란다.